콘텐츠로 건너뛰기
기본교재: 20분의 고요함(1.1ed)

교재 개요

서명      20분의 고요함
저자      김기홍 명상전문지도사
펴낸곳   사일런스 힐링 코리아
출판일   2024년 8월(Edition 1.1)
정가      25,000원
커버      소프트커버
분량      390쪽
크기      신국판, 152*224mm

서문 중 일부 발췌

현대 심리학이 전문가를 중심으로 하여 심리적 문제의 원인을 밝혀내고 세밀하게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는 달리 명상이 접근하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다.

명상은 개인의 심리적 문제의 원인을 앞서 언급했던 뇌 속 무의식 영역의 과도한 활성화에서 찾는다. 즉 자신의 의도나 의지와는 관계없이 개인을 사고하고 행동하게 하는 무의식 영역의 과도한 흥분 상태가 만들어낸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명상은 침묵을 통하여 흥분에서 벗어나는 원리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그 결과로 명상을 하면 무의식 영역의 흥분 상태가 낮아짐으로써 자극을 경험하더라도 부정적 정서에 갇힐 가능성을 낮추거나, 설사 갇혔다고 하더라도 잠시의 명상으로 부정적 정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제1장 내면이 고요해야 가능한 것들

1. 방치되고 있는 부정적 정서 16
2. 두 가지 힐링 방법 18
    5감을 자극하는 힐링 18
    5감의 자극을 멈추는 힐링 19
3. 무의식을 잠시 꺼두기 22
4. 침묵이 만드는 힐링과 자기성장 28
    심리적 휴식 28
    신체적 휴식 29
    몰입 혹은 집중력 강화 32
    자기 인식과 자기 조절 35
    통찰과 지혜 37
    행복감의 출발선 41
    스트레스성 질환의 완화 43
    체중조절, 수면의 질 향상 등 46

제2장 의식과 무의식

1. 내면 사고란? 48
2. 객관적 사실의 세계를 인식하는 의식 50
3. 인식한 대상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무의식 52
4.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 57
5. 의식과 무의식, 어느 것이 중심일까? 60
6. 전의식 63

제3장 무의식이 만드는 소란함

1. 부정적 정서의 출발점인 무의식 67
2. 스스로 떠오른 생각, 잡념 69
    TPN 69
    TNN과 DMN 70
    TNN의 중심 무의식 74
3. 과거나 미래에 대한 생각. 즉 지금 여기를 벗어남 75
4. 미해결 과제를 찾아내려는 습성 79
5. 만족을 모르는 결핍감 83
    만족이 없는 인간의 기본 욕구 83
    더 많은 것을 원하는 도파민 중독 84
6. 인간의 기본 감정인 부정적 감정 87
    감정은 에너지 87
    생존의 필수 요소인 부정적 감정 90
    양날의 칼인 부정적인 감정 92
    감정이 이성에 앞서는 이유 94
7. 쾌감과 행복감: 무의식이 나를 움직이는 도구 101
8. 자극에 대해 반응하려는 습관 104
    자극에 대해서 반응하는 이유 104
    자극부터 반응까지 단계 107
9. 모든 것을 판단하려는 습성 110
    생존의 필수 기능인 판단 110
    모든 자극에 대해서 무조건 판단하는 이유 110
    빠르게 판단하려는 이유 112
    판단의 기준들 115
10. 판단이 일으키는 내면의 소란함 118
    부정적인 정서를 생성한다. 118
    받아들이지 못한다. 119
    타인과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23
    주관적 영역에는 오류의 가능성이 있다. 123
    집착을 일으켜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한다 126
    반추를 일으켜 스트레스 상태를 지속한다. 128
    생각의 프레임을 만들고 자존감은 낮아진다. 130
11. 내면언어가 일어남 132
    내면언어가 일으키는 소란함 132
    내면의 해설자 135
    내면언어의 또 다른 문제점 137
    명상을 할 때 일어나는 내면언어들 138
12. 거부하고 있음 139
    왜 거부하는가 139
    받아들이지 못할 때 나타나는 현상들 142

제4장 고요함을 회복하는 해법들

1. 깨어있기 152
2. 의식에 머무르기 154
    의식의 의미와 작동 조건 154
    특정한 대상에 대한 선택적 주의 기울임 155
    의도가 있는 주의 기울임 158
    들숨 날숨을 꿰뚫어 명료하게 관찰하기 161
    무의식을 의식의 대상으로 하기(탈중심화) 161
    마음을 대상으로 보기(탈중심화) 164
3. 탈중심화의 시작, 알아차림 167
    바라봄과 알아차림의 차이 171
    알아차림으로 미해결 과제에서 벗어나기 173
    알아차림으로 판단과 분별에서 벗어나기 176
4. 관찰하기(탈중심화) 179
    관찰자 효과의 의미와 기능 179
    메타인지를 활성화 하기 183
    무의식을 탈중심화 시켜 의식의 대상으로 보기 186
5. 구체적 조작에 머무르기 190
6. 지금 여기에 머무르기 192
7. 생각의 틀을 버리기 196
8. 내면언어를 멈춤 202
9. 허용하거나 받아들여 거부함을 벗어나기 205
    명상에서 하는 허용함의 연습 210
    모든 것을 허용하기 211
    단박에 허용하기 214

제5장 고요함에 들기 위한 준비

1. 준비물 220
    두께가 있는 방석 220
    품이 넉넉한 상하의 220
    일정한 공간 221
    일정한 시간 222
    최적의 명상시간은 아침 224
    그 외 명상이 필요한 시간 225
    타이머 226
    주변에 알리기 228
2. 명상 자세 230
    방석에서 할 때 230
    의자에서 할 때 235
    일반적인 명상 준비 과정 236
3. 명상 전 이완하기 238
    몸의 이완을 위한 단전 두드림 239
    마음의 이완을 위한 느린 호흡 241

제6장 호흡을 놓아주기

    호흡으로 고요함에 드는 원리 246
    의식의 대상으로 호흡이 선정된 이유 247
    호흡에서 무엇을 볼까 251
    구강호흡 또는 비강호흡 252
    흉식호흡과 복식호흡 253
    호흡이 주는 이완 255
    호흡을 느끼는 기준점을 고정하기 256
    호흡을 대상으로 보기 258
    호흡을 있는 그대로 보기 260
    1분 동안 자기 호흡수 세기 261
    호흡을 놓아주기 262
    호흡의 감각을 예민하게 느껴보기 264

제7장 고요함에 드는 수련

1. 사마타 명상 개요 269
    의미와 목적 269
    사마타 명상으로 고요함에 드는 원리 271
    고요함에 든 후 하는 경험 273
2. 숨의 들고남을 알아차림 276
    목표와 원리 276
    수련과정 277
    유의사항 282
3. 숨을 세어 알아차림(수식관) 287
    목표와 원리 287
    수련과정 288
    유의사항 292
4. 들숨 날숨의 길이를 알아차림 296
    목표와 원리 296
    수련과정 299
    유의사항 301
    내면언어로 표현하지 않기 305

제8장 있는 그대로 보는 수련

1. 위빠사나 명상 개요 309
2. 있는 그대로 보는 원리: 판단없는 인식 312
    선입견, 주관적 해석, 판단, 감정의 탈중심화 312
    정서적 반응에서 벗어나기 313
3. 소리를 소리로 봄 320
    목표와 원리 320
    수련과정 323
    유의사항 325
4. 생각을 알아차려 있는 그대로 보기 326
    목표와 원리 326
    수련과정 329
    유의사항 332
5. 사고 중심에 있는 것에 이름 붙여 탈중심화 하기 334
    목표와 원리 334
    수련과정 340
    유의사항 342
6. 내면언어를 알아차려 내면의 해설을 멈추기 344
    목표와 원리 346
    수련과정 350
    유의사항 352
7. 거부함을 알아차려 판단을 멈추기 허용해주기 354
    목표와 원리 354
    수련과정 361
    유의사항 363

제9장 고요함에 드는 다른 명상

1. 걷기명상 367
    목표와 원리 367
    걷는과정 369
    주의사항 370
2. 먹기 명상 372
    목표와 원리 372
    먹는 과정 376
    유의사항 378

제10장 행복을 발견하는 방법

10장은 소제목이 없습니다.

도서 구매 신청서

이 양식을 작성하려면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를 활성화하십시오.
주문서 송부에 필요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입금여부를 알려주세요
1. 계좌: 국민은행 740901-01-690279 예금주 김기홍
2. 신청자 성명으로 입금해주세요.
배송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