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도입 introduction

*

강박은 뇌에서 일어나는 문제이다. 그 순간 강박이 있는 사람은 강박해소 동작을 하게 되는데, 그 결과로 치료하지 않으면 행동의 습관까지 갖게 된다. 따라서 강박장애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어나는 생각에 대해서 반응하지 않는 기술을 익혀야 한다.

ERP: 노출 및 반응 방지법. 생각을 하도록 해서 해당 분위기에 노출하고, 그에 대해서 반응하지 않도록 함. 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

외부의 자극을 경험하는 순간 나에게 좋은 사람(상황), 나쁜 사람(상황)이라고 하는 심판하는 판단, 판단에 따라 움직이는 심리나 행동을 멈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워낙 빠른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응은 상대는 물론 나에게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내가 나의 반응을 선택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할 것은 반응을 하지 않기로 하는 것, 즉 반응을 멈추는 것이다. 이른바 <Pause>이다.

그 다음에 할 것은 의식의 수준에서 일어나는 인식은 하되, 무의식 수준에서 진행되는 판단이 포함되는 인지의 과정은 멈추기로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인식에서 멈추기 때문에 인지과정은 보류된다.

그런 의미에서 인식에만 머무르겠다고 의도한다.((참고로 사마타에서 잡념을 멈추기 위하여 호흡에 더 깊은 주의를 기울였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인간은 한번에 한가지 밖에 정보를 처리할 수 없다. 그나마도 나이가 들면 A라는 정보를 처리하다 B라는 정보를 처리하는 것으로 옮겨가는 것에 젊은 시절에 비해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얼굴의 표정은 감정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얼굴에 표정을 만들기 위한 힘이 들어가 있으면 감정을 만들어내는 과정인 인지 과정이 잘 진행된다.

결국 인식의 과정에 주의를 기울이려면 얼굴의 표정에서 힘을 빼야한다. 그래야 판단을 통한 감정으로 연결되지 않고 대상을 있는 그대로 인식할 수 있다.((얼굴의 표정은 감정을 쉽게 유발하게 만든다. 얼굴에서 힘을 빼면 상대는 내가 자신의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고 생각한다. 실제로도 그렇다. 그리고 그 다음에 나의 입장을 정하면 상대는 그것을 내 감정의 결과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실제로도 입장을 결정한 것은 나의 감정이 아니라 나의 의식이다. 만일 내면에서 저절로 일어나는 생각이 모두 긍정적이고 행복한 생각이라면 세상은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원리가 지배했을 것이다. 사람들이 돈을 쓰는 이유는 지금에 문제가 있다고 보기 때문에 돈을 쓰는데 지금이 별문제가 없는 행복한 상황이라고 생각한다면 돈을 쓰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외부로부터 경험하는 자극뿐만 아니라 내면에서 저절로 일어나는 생각도 불편한 정서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요인이다. 왜냐하면 저절로 일어나는 대부분 생각이 불편한 생각들이기 때문이다.((인간이 생각하는 방식이다.))

이 불편한 생각에서 반응하지 않고 벗어나는 방법은 자신이 원치않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내면의 해설자(내면언어)를 멈추는 것이다. 또는 내면의 해설자를 허용해주는 것이다.

실습

오늘의 실습은 일어나는 생각을 허용해주고 다시 호흡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이 명상의 효과는 일어난 생각의 강력한 힘에서 생각의 저항없이 벗어나는 방법을 익히는 실습이다.

예를 들어 어떤 말을 하고 싶은 충동이 일어났을 때 특히 그것이 부정적인 말이면 말일 수록, 그 말을 더욱 더 내뱉고 싶어진다. 그 말을 하지 않고 참게되면 불편한 정서로 이어진다. 그래서 사람들은 참다 참다 결국 자신의 머리에 떠오른 말을 입 밖으로 내뱉는다. 이 명상을 하면 그런 충동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 명상을 할 때는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명상의 목적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이 들고 나는 숨을 알아차리는 것이라는 점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원하는 것은 내가 원하는 것을 해내는 것이지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호흡에 주의를 기울이는데 자신의 생각이 다른 곳으로 갔다면 다시 자신이 하는 것으로 돌아오는 것이 목적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이론

1. TPN, TNN
DMN은 감각을 통한 자극 정보가 처리되지 않을 때 스스로 작동하기 시작하는 신경망이다.

2. 부정적 정서의 출발점인 무의식 p69

3. DMN이 일으키는 생각들 p70

 

답글 남기기

11주차: 무의식이 만드는 소란함
수업참여
명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