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1교시

■ 자유로워지고 싶으면 스스로를 놓아주면 된다. 나의 자유를 막고 있는 존재는 바로 나이다. 아이러니 하게도 인간은 스스로를 틀에 가둔다.

■먹기명상

오늘 낮에 회사의 구내식당에서 밥을 먹었다고 하자. 집에 돌아와서 그 식사를 할 때 어떤 반찬이 나왔는지 기억할 수 있는가? 많은 사람들이 무슨 음식을 먹었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왜 그럴까? 자신이 먹고 있는 음식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먹기명상의 원리는 다른 명상과 마찬가지로 자극에 대하여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을 멈추고, 의식적인 수준에 머무르면서 자신의 반응을 선택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무의식은 식탐에 의해 일어나는 과식, 몸에 좋다기보다는 입에 쾌감을 주는 음식을 탐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입에서 음식이 머물다가 목구멍을 통하여 넘어가기까지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며, 의식적인 수준에서 음식을 먹는 것이 왜 유용한지를 배운다.

■내면언어를 멈추기

내면언어를 멈추기 위해서는 내면언어를 알아차려야 한다. 동시에 내면언어를 알아차린 후 들숨 날숨에 주의를 기울이는 명상을 하면 어떤 변화가 있는지 경험해보자.

2교시

p53:3 – p54:5 프로이드가 보는 스트레스 상황 2가지. 결국 대부분의 스트레스는 스스로가 만들어낸다.

p55:16 – p56끝 초대하지 않은 손님(uninvited guest)

p67 – p68 부정적 정서의 출발점인 무의식

2. TPN, TNN
DMN은 감각을 통한 자극 정보가 처리되지 않을 때 스스로 작동하기 시작하는 신경망이다.

3. 과거나 미래에 대한 생각

■ 숨을 알아차리다가 잡념이 일어나면 내면언어를 멈추고 다시 숨을 알아차리기(천천히, 여유롭게, 주의기울임/집중)

답글 남기기